MRP 레코드(MRP Record)


MRP 레코드(MRP Record)



    MRP 전개(MRP Explosion)은 MRP레코드, BOM, Routing, Item Master 등을 기초 데이터로 하여 실행될 수 있습니다. MRP 레코드의 형태와 데이터의 의미를 파악한다면, MPS/MRP Planning의 입력과 출력에 관한 많은 부분을 이해하 실 수 있습니다. 본 절에서는 MRP 레코드의 형태와 MRP 레코드의 각 항목이 어떠한 데이터들과 연관을 가지고 있는 지를 파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MRP 시스템 중 계획(Planning)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핵심 모듈은 기준생산계획(MPS Planning 또는 Master Production Scheduling)과 MRP 전개(MRP Explosion)입니다. 기준생산계획을 통해 입력된 각 제품의 생산계획량 정보는 MRP 모듈에 의해 각 부품별 수급계획(제조 또는 구매)을 수립할 수 있게 됩니다. MRP 전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MRP 레코드, BOM, Routing, Item Master 등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합니다. 본 절에서는 이 중 MRP 레코드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MRP 레코드는 흔히 표(Table)로 표현합니다. 그리고, MRP 레코드의 모습은 MPS 레코드와 다를 바가 없기 때문에, 많은 MRP/ERP 팩키지에서는 MRP 레코드와 MPS Table의 정보를 동일한 형태(MRP 레코드)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MRP 레코드의 기본적인 모습은 다음의 그림과 같습니다. 

     
    MRP 레코드의 모습


    MRP 레코드의 모습은 MPS(Master Production Scheduling)에서 설명한 MPS 표와 유사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파악하 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 구조를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MPS와 마찬가지로 MRP도 제품 또는 부품의 수급 계획( 또는 재고 계획)을 수립하는 도구입니다. 
    • 일정한 단위로 시간을 나눈 단위(Time Bucket)에 따라 수요에 대한 공급 계획을 수립하게 됩니다. 따라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계획(Time-phased Planning)을 위해 모든 데이터는 일정 기간단위로 합산되어 표현됩니다. 위의 그림에서는 Time-Bucket으로 주(week)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계획은 무한정의 미래까지가 아닌 설정된 기간내에서만 이루어집니다. 이를 계획기간(Planning Horizon)이라고 하며, 위의 그림에서는 10주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계획의 대상은 무엇일까요? 바로 부품 또는 제품의 Identifier가 필요하겠지요? 그림에서는 Y001이라는 부품에 대한 계획임을 알 수 있습니다.
    • 계획 방법은 어떤 것일까요? 부품별로 계획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계획 방법에 따라 필요한 parameter도 다릅니다. 위의 예제에서는 L4L(Lot-For-Lot)을 사용하고 있으며, 안전재고를 10으로 두고 있습니다.
    • 현재의 재고량은 얼마나 될까요? 이는 초기재고로 알 수 있습니다. 위의 예제에서는 20입니다.
    • Gross Requirements : 총소요량이라고 번역될 수 있겠습니다. 대개 MPS는 최종제품(Final Product 또는 End Product)에 대해 수립되고, 이때의 수요량은 수요예측치였습니다. MRP에서는 동일한 부품이 여러 제품의 생산에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제품의 수요량에 근거한 소요량이 합산됩니다. 그리고, Service나 창고간의 이동 등의 요구에 따라 수요량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 Scheduled Receipts : 입고예정량이라고 번역될 수 있겠습니다. 이미 확정이 된 계획(Firm Planned Order)은 변경되지 않는다고 가정합니다. 이들 계획이 그대로 실행된다면 언제쯤 얼마만큼의 부품/제품이 공급될 지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확정된 계획 또는 실행중인 계획에 따른 수급 예정량이 바로 Scheduled Receipts 입니다.
    • Projected Available Balance : 가용재고량으로 번역될 수 있겠습니다. 기간 T 시점을 예로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기간 T 초의 재고량과 기간 T동안의 수급량을 더한 후에 기간 T동안의 소요량을 빼주면, 기간 T말 또는 기간 T+1초의 재고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가용재고량은 대개 기간 T말의 재고량을 나타냅니다.
    • Planned Order Release : 발주는 발주정책에 따라 발주량과 시점이 정해집니다. 현재 발주 정책이 L4L이기 때문에, 기간 T의 Projected Available Balance가 안전재고 이하로 떨어지면, 순 소요량과 안전재고 유지에 필요한 양만큼을 더해서 발주하게 됩니다. 이때에는 제품의 공급에 필요한 리드 타임(제조 또는 구매)을 고려하여 리드타임만큼 빨리 발주를 하게 됩니다. 현재 예제에서는 리드타임을 2주로 잡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간 T에 필요한 부품의 양은 기간 T-2에 발주를 하게 됩니다. 기간 T-2의 초에 발주된 양은 기간 T 초에 입고되도록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들 데이터의 출처는 어디일까요? 그리고, 계산된 결과는 어떻게 사용될까요? 지금부터는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용도)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Item Master : 어떠한 Item이 MRP Planning의 대상이 되는지는 Item Master 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Item의 Planning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는 Section이 있다는 것은 Item Master에 관하여 설명드렸습니다. Item Master를 통하여 주문정책(Order Policy)와 주문정책의 실행에 필요한 Parameter를 알 수 있습니다. 즉, 주문정책, 리드타임, 안전재고, 주문량 등의 정보는 모두 Item의 Planning Data에 속합니다.
    • Inventory Record : Inventory Record를 살펴보면 현재 재고가 얼마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현재고량에 반영됩니다. 현 재고량에 대한 정보는 Item Master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정보의 출처는 Inventory Transaction Record입니다.
    • Gross Requirements : 수요는 여러 곳에서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상위 부품(Parent Item)의 수급 계획에 따라 하위 부품의 소요량은 계산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Parent Item의 MPS/MRP 레코드의 소요량과 BOM을 통하여 수요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Service 부품인 경우에는 Service Order에 의해서도 소요량이 늘어날 수 있으며, DRP를 사용하는 경우 DRP에 의한 소요량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Sales Order 등에 의해서도 Gross Requirements는 늘어나게 됩니다.
    • Scheduled Receipts : MPS/MRP에 의해 생성된 오더(Planned Order)들은 모두 Order Table에 저장됩니다. 이 중 Firm Planned State로부터 Closed 상태 이전에 있는 Order들 중 입고에 관련된 오더들을 살펴보면 도착예정인 부품의 수량과 시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Projected Available Balance : Projected Available Balance는 계산에 의해 구해지는 값입니다. Gross Requirements, Scheduled Receipts 그리고 Planned Order Release를 이용하여 가용 재고량은 계산될 수 있습니다.
    • Planned Order Release : Projected Available Balance, Scheduled Receipts, Gross Requirement에 대한 정보와 주문 정책을 알 수 있다면 발주시점과 발주량은 결정될 수 있습니다. Planned Order Release는 계산되는 양입니다. Item Master를 참조하면 이 부품이 제조되는 부품인지 아니면 구입되는 부품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매되는 부품에 대해서는 구매 오더(Purchase Order), 제조되는 부품에 대해서는 제조 오더(Production Order)가 계획되게 됩니다. 만일, 해당 부품이 자부품의 조립에 의해 생산되는 것이라면 자부품의 총 소요량은 Planned Order 수량과 BOM을 통해 알 수 있는 자부품의 요구량이 곱해져서 Gross Requirement에 더해지게 됩니다.


    앞서 MPS Table을 설명하면서, BaaN IV의 경우 MPS/MRP 레코드의 항목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설명드린 바 있습니다. 이들 데이터들은 위에서 설명한 MRP 레코드의 기본 데이터를 보다 상세히 분류하고, 타 모듈과의 Interface를 강화한 것입니다. 기본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 어떻게 MPS/MRP 계산이 가능한지를 먼저 살펴본 후에, BaaN IV의 경우에는 MPS/MRP 계산을 어떻게 하는지 살펴보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인 Inventory Balance Equation 
     
    위의 수식은 T기간말의 재고(Projected Available Balance)는 T-1기간초의 재고(Projected Available Balance)에 T-1기간 동안 입고되는 생산량 또는 구매량을 더한 후에, T-1기간 동안의 수요량(Gross Requirements)를 빼주면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BaaN IV의 Inventory Balance Equation 
     
    앞서 설명드린 기본적인 Inventory Balance Equation(재고균형식)과 유사합니다. 그러나, 항목이 많지요? 이들 항목에 대한 리스트는 MPS Table을 설명드릴 때 언급되었었습니다. 본 절에서는 각 약자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만 언급하기로 하겠습니다. 

    • IL : Inventory Level
    • FD : Forecasted Demand
    • CF : Consumed Demand Forecast
    • ED : Extra Demand
    • AD : Customer Demand
    • XD : Exploded Demand
    • PR : Planned Receipts
    • CR : Consumed Planned Receipts
    • SR : Scheduled Receipts


    사실 이들 항목이외에도 재고 Transaction Record를 설명드릴 때 언급되었던 재고 실사에 따른 재고량 조정등이 추가로 포함되게 됩니다. 이들 데이터는 이미 반영되었다고 가정하고 설명드린 것입니다. 

    MRP 레코드가 어떤 모습인지 이제는 아셨을 것입니다. MPS 표 또는 MRP 레코드에서 Order Release를 중심으로 바라본다면 MPS/MRP 계획은 생산 계획 또는 구매 계획이라고 바라볼 수 있으며, Projected Available Balance를 중심으로 바라보면, 재고계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바라보는 각도의 차이일뿐 동일한 데이터에 대한 동일한 계획이라는 것을 아실 수 있었을 것입니다. 

    본 페이지는 1997년 12월 29일에 만들어졌습니다.